간호

[간호학과] 근골격계 간호진단 및 중재 한눈에 보기 요약집

김간토리 2023. 9. 22. 13:00
반응형

 

 

실습 중 case study와 임상 속 처치를 위해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진단과 중재를 내리는 것은

간호사라면 꼭 해야 할 기본적인 지식입니다

 

각 파트별 주요 질환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진단에 적합한 간호중재 및 근거를 위해

김간토리와 함께 한눈에 보기로 공부해 봅시다


인공관절치환술 환자의 간호과정

 

 

 

[간호진단 : 급성 통증]

 

기대되는 결과 : 

통증 정도가 경감되고 통증이 조절된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통증을 모니터링하며 기록한다

(PCA 통증자가조절법을 이용한 모니터링 필요함)

2. 얼음찜질을 통해 냉요법을 실시한다

(수술 부위의 출혈 감소와 혈관수축을 위함)

3. 적절한 약물 투여와 활동을 병행한다

(근육 긴장도를 줄이고 대처능력을 강화함)

 

 

 

[간호진단 : 감염 위험성]

 

기대되는 결과 :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손 씻기를 철저히 한다

(감염의 기본적인 예방법이며 교차오염 감소시킴)

2.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맥박과 체온의 상승은 감염의 증상 및 징후임)

3. 8시간마다 수술 부위 및 통증을 사정한다

(통증은 감염이 진행됨을 의미함)

4. 드레싱 교환 및 배액관 관리를 무균적 시행한다

(엄격한 무균술은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킴)

5. 수분 섭취, 고단백 및 섬유질 식이를 권장한다

(조직관류 증진과 영양상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

 

 

 

[간호진단 : 신체기동성 장애]

 

기대되는 결과 : 

관절운동범위(ROM)이 향상된다

일상생활활동(ADL)의 수행이 가능하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피부를 모니터링한다

(피부 자극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하기 위함)

2. 재활운동 프로그램 및 ADL을 교육한다

(근력 강화, 자존감, 독립심을 증가시키기 위함)

3. 침범 받지 않은 관절의 ROM 운동을 시행한다

(활동이 제한되는 동안 관절 기능을 유지하기 위함)


수술 후 견인장치 환자의 간호과정

 

 

 

[간호진단 :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기대되는 결과 : 

피부는 찰과상이나 발적이 없이 깨끗하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환자를 들어 올려 피부 간호를 시행한다

(체위변경을 돕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

2. 환자를 움직일 때 들어 올려 이동한다

(끌어 이동할 시 마찰력으로 피부 상처 발생함)

3. 환자의 부동자세에서 압박 부위를 사정한다

(장기간 압박받을 시 욕창 발생 위험성 증가함)

 

 

 

[간호진단 : 상해의 위험]

 

기대되는 결과 : 

견인력을 유지하며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처방에 따라 환자의 체위를 결정한다

(상대적 견인력을 유지하는 체위가 필요함)

2. 처방에 따라 견인추를 천천히 조절한다

(근육 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조심히 당겨야 함)

3. 견인추가 주변 어디에도 닿지 않는다

(견인추가 바닥, 침대, 견인줄에 닿으면 효과 없음)

 

 

 

[간호진단 : 말초신경혈관 기능이상의 위험]

 

기대되는 결과 : 

말초신경혈관 기능이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견인하고 있는 사지를 사정한다

(냉감, 감각과 움직임 변화는 구획 증후군의 증상임)

2. 구획 증후군 증상 발생 시 즉시 의사에게 알린다

(구획 증후군은 괴사를 유발하여 즉각적 중재 필요함)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