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급실 32

[응급실 시술]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경피내시경위루술 한눈에 보기

1. PEG의 정의 Percutaneous : 경피적(피부를 뚫어) Endoscopic : 내시경적 Gastrostomy : 위루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내시경을 통해 위에 들어가 복부를 뚫어 밖으로 나오는 관을 연결하는 시술 (G-tube라고도 한다) 2. PEG의 목적 위의 압력이 높은 경우 감압을 하기 위함, 위장관 출혈 및 폐쇄 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 경구 섭취 어려운 환자들에게 영양보충을 하기 위함, 경피적으로 피부를 뚫어 삽입한 관으로 식사 및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PEG를 시행한다 3. PEG의 적응증 식도의 해부학적 장애가 있는 경우, 입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없는 경우, 음식이 식도를 통과하면 안되는 경우, 삼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경우 등 위의 경우 PEG를 적용하기 전 1차..

응급실 2024.02.26

[응급실 시술] PCN(percutaneous nephrostomy) 경피적신우술 한눈에 보기

1. PCN의 정의 Percutaneous : 경피적(피부를 뚫어) Nephrostomy : 신루술(신장 누공, 신장 형성) 신장에서 걸러진 소변이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자연배설되지 못하는 경우 카테터를 통해 방광 내에 있는 소변을 배액하는 시술 2. PCN의 목적 요로계 수술 후 소변 통로를 유지하기 위함, 소변이 신장에서 충분히 배출되게 하기 위함, 요로계 협착을 완화시키거나 돌을 제거하기 위함, 종양으로 인해 요로계가 압박된 경우 개방하기 위함 등 침습적이지만 수술보다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요로계 질환에 따른 배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CN을 시행한다 3. PCN의 적응증 신장 내 협착으로 소변의 흐름이 차단되는 경우, 신장 내 돌로 인해 소변의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신장 감염 시..

응급실 2024.02.25

[응급실 시술] PCD(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경피적농양배액술 한눈에 보기

1. PCD의 정의 Percutaneous : 경피적(피부를 뚫어) Catheter : 카테터 Drainage : 배액 방사선을 통해 피부를 뚫어 긴 카테터를 삽입한 후 몸 속 염증으로 인해 생긴 농양을 배액하는 시술 피부를 뚫어 카테터를 삽입하는 시술의 넓은 뜻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2. PCD의 목적 비정상적 액체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함, 복강 내 복수가 쌓이는 경우 배액하기 위함, 흉막강 내 혈액 및 체액이 쌓이는 경우 배액하기 위함, 감염으로 인해 농양이 쌓이는 경우 배액하기 위함, 절개부위를 최소한 적게 하여 배액하기 위함,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시술이며 체액을 배출하기 위해 PCD를 시행한다 3. PCD의 적응증 복강 내 복수가 고여 있는 경우, 흉막강 내 혈흉이 고여 있는 경우, 간에 농양이..

응급실 2024.02.24

[응급실 시술] PTGBD(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 경피경간담낭배액술 한눈에 보기

1. PTGBD의 정의 Percutaneous : 경피적(피부를 뚫어) Transhepatic : 간을 경유하여 Gallbladder : 담낭(쓸개) Drainage : 배액 방사선 조영을 통해 피부를 뚫어 긴 카테터를 삽입한 후 담관에 정체되어 있는 담즙을 몸 밖으로 빼내는 시술 급성 담낭염 환자에게 시행하는 대표적 시술 1-1. PTBD와 PTGBD의 차이 PTBD는 Biliary 담즙(담관) PTGBD는 Gallbladder담낭(쓸개) PTBD와 PTGBD의 다른 점은 카테터의 끝이 어디를 향하고 있느냐에 따라 정해진다 PTBD는 배액관의 끝이 총담관에 있어서 담즙을 (총)담관을 통해 배액하는 시술 PTGBD는 배액관의 끝이 담낭 안에 있어서 담즙을 담낭을 통해 배액하는 시술 2. PTGBD의 목적..

응급실 2024.02.23

[응급실 시술] PTB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경피경간담도배액술 한눈에 보기

1. PTBD의 정의 Percutaneous : 경피적(피부를 뚫어) Transhepatic : 간을 경유하여 Biliary : 담즙(담관)의 Drainage : 배액 방사선 조영을 통해 피부를 뚫어 긴 카테터를 삽입한 후 담관에 정체되어 있는 담즙을 몸 밖으로 빼내는 시술 내시경적 방법이 어려운 경우 PTBD를 시행할 수 있다 2. PTBD의 목적 급성 담관염 시 담도 감압을 위함, 조직 생검 및 방사선 치료를 위함, 담도의 문제를 진단 및 치료를 위함, 담석을 제거하기 위한 경로 확보를 위함, 화농성 및 황달 환자의 담액 배액을 위함 등 담즙을 배액하기 위해 PTBD를 시행한다 3. PTBD의 적응증 내시경으로 담도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 담도 내 폐쇄 및 협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경우, 결석 등으로 ..

응급실 2024.02.22

[응급실 시술] ENBD(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내시경적비담도배액술 한눈에 보기

1.ENBD의 정의 Endoscopic : 내시경적 Nasobiliary : 비담관 Drainage : 배액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에서 담액을 배액하는 시술 신체 외부로 배액하는 외류법이며 비강(콧줄)으로 배액관을 삽입한 후 담즙을 빼낸다 ERCP 검사를 하며 ERBD와 ENBD를 할 수 있다 (ERBD : 소화기관인 몸 안으로 내류법, ENBD : 콧줄을 통해 몸 밖으로 외류법) 1-1. ENBD의 장단점 장점 : 매일 담즙 배액량 확인 가능함 추가 ERCP없이 담도 조영술 시행 가능함 단점 : 배액관이 비강으로 나와 환자 불편감 호소함 2. ENBD의 목적 총담관의 폐쇄를 해소하기 위함, 담즙 성분을 분석하여 진단하기 위함, 배액관을 통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 담즙을 비강을 통해 체외로 배액하기 위..

응급실 2023.12.22

[응급실 시술] ERBD(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내시경적역행담도배액술 한눈에 보기

1. ERBD의 정의 Endoscopic : 내시경적 Retrograde : 역행하는 Biliary Drainage : 담즙 배액 담관의 협착 및 폐쇄로 인해 담즙 배액이 불가능할 때 내시경을 통해 막힌 담관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담즙을 체내(소화기관)로 배액하는 시술 ERCP 검사를 하며 ERBD와 ENBD를 할 수 있다 (ERBD : 소화기관인 몸 안으로 내류법, ENBD : 콧줄을 통해 몸 밖으로 외류법) 1-1. ERBD의 장단점 장점 : 담도 내에 위치하여 환자 관리하기 편함 체내 배출로 전해질과 수분 손실이 없음 단점 : 배액관 세척 불가능으로 스텐트가 폐쇄되는 경우 다시 시술해야함 오히려 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음 스텐트 제거를 위해 다시 시술해야함 2. ERBD의 목적 담관의 전반적인 상태와..

응급실 2023.12.20

[응급실 시술]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내시경적역행담췌관조영술 한눈에 보기

1. ERCP의 정의 Endoscopic : 내시경적 Retrograde : 역행하는 Cholangio-Pancreatography : 담관 췌관 내시경을 입에서 십이지장까지 삽입한 후 십이지장 유두부로 올라가 역행하여 담관과 췌관에 조영제를 투여하며 시각화하는 검사 ERCP 검사를 하며 ERBD와 ENBD를 할 수 있다 (ERBD, ENBD : 담도배액술) 2. ERCP의 목적 양성, 악성, 염증, 담낭암, 담관협착, 담도결석, 췌장염, 췌장암, 담관 및 췌관의 선천성 기형 담관 및 췌관의 전반적인 상태와 이상을 확인하여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ERCP를 시행한다 필요 시 조직 검사, 세포 검사, 결석 제거, 협착 완화, 내시경적 치료 등의 검사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3. ERCP의 적응증 담관 및 ..

응급실 2023.12.18

[응급실 검사] EUS (endosopic ultrasound) 내시경초음파 한눈에 보기

1. EUS의 정의 EUS, endosopic ultrasound : 내시경초음파 고주파 초음파 장치의 특수 내시경을 환자의 입을 통해 삽입 후 위, 십이지장에 밀착시켜 췌장, 담낭, 담관을 시각화하고 평가하는 검사 내시경 검사 + 초음파 검사의 장점을 살려 복부 초음파와 다르게 시야 제한을 받지 않아 췌장, 담낭, 담관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2. EUS의 목적 생검, 조직검사, 세포학 검사, 이상, 종양 등 병변 진단 후 치료하거나 수술적 치료 대신 시술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소화기와 주변 장기의 이상을 진단하며 치료하고 필요 시 조직검사를 위해 검체를 채취한다 3. EUS의 적응증 담낭염 및 담낭암의 정확한 진단 위해, 조영제 및 방사선 노출없는 검사 위해, 만성 질환 시 정기적인 추적검사 위..

응급실 2023.12.16

[응급실 검사] BFS (bronchoscopy) 기관지내시경 한눈에 보기

1. BFS의 정의 BFS, bronchoscopy : 기관지 내시경 검사 기관지 내시경 기구를 직접 입 안에 넣어 상부호흡기(기관,기관지)를 시각화하고 평가하는 검사 기관지와 호흡기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검사 흉부엑스레이(chest X-ray)에서 기관 및 기관지, 폐의 이상이 의심되거나 기침, 가래 및 호흡기 증상이 지속될 때 시행하는 검사 2. BFS의 목적 종양, 감염, 출혈, 폐질환의 유무 등 기관 및 기관지 내부의 이상을 확인하여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한다 필요 시 조직 검사, 세포 검사, 배양 검사, 세침 검사, 종양 및 이물질 제거, 기관지 스텐트 시술, 기관지 및 폐포 세척술 등의 검사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3. BFS의 적응증 정밀검사 및 검체채취가 필요한 경..

응급실 2023.12.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