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CD의 정의
Percutaneous : 경피적(피부를 뚫어)
Catheter : 카테터
Drainage : 배액
방사선을 통해 피부를 뚫어 긴 카테터를 삽입한 후
몸 속 염증으로 인해 생긴 농양을 배액하는 시술
피부를 뚫어 카테터를 삽입하는 시술의
넓은 뜻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2. PCD의 목적
비정상적 액체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함,
복강 내 복수가 쌓이는 경우 배액하기 위함,
흉막강 내 혈액 및 체액이 쌓이는 경우 배액하기 위함,
감염으로 인해 농양이 쌓이는 경우 배액하기 위함,
절개부위를 최소한 적게 하여 배액하기 위함,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시술이며
체액을 배출하기 위해 PCD를 시행한다
3. PCD의 적응증
복강 내 복수가 고여 있는 경우,
흉막강 내 혈흉이 고여 있는 경우,
간에 농양이 있어 체액이 고여 있는 경우,
췌장에 불필요한 체액이 고여 있는 경우,
불필요한 액체는 염증 및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신체 내 불필요한 액체 및 공기를 배액하는 시술이다
4. PCD의 절차
(1) 검사 전 :
환자는 일정 기간 동안 금식해야한다
문진을 통해 환자의 현재 상태, 복용 약물 등을 확인한다
(2) 마취 및 진정 :
피부를 뚫어야하기 때문에
부분 마취를 시행하여 통증을 감소시킨다
(3) 배액관 삽입 :
초음파를 통해 배액이 필요한 위치 확인 후
피부를 관통하여 배액관을 삽입한다
(4) 배액관 조작 :
초음파를 통해 배액관의 위치와 배액 흐름을 확인한다
배액관을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5) 검사 종료 :
배액관이 삽입된 부위 피부를 관리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마취 및 진정이 깰 때까지 침대에서 휴식을 취한다
5. PCD의 간호
시술 전 간호 :
- NPO time (8-12시간 물 포함 금식)
- OP gown change
- full voiding (내시경 가기 전 소변보기)
- V/S check (마취 시 혈압 저하 가능성 있음)
- 평소 복용 중인 약물 및 마지막 복용 시간 확인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와파린,
피 묽히는 약 등 마지막 복용 시간 확인 ->
시술 도중 출혈 발생 시 위험성 예방하기 위함)
- 틀니, 보청기, 장신구, 귀중품, L/T 제거
- 필요에 맞는 내시경 동의서 받기
- 진정 내시경 시 보호자 keep
시술 후 간호 :
- 마취 풀릴 때까지 흡인 예방을 위해 측위를 유지
- NPO teaching (구역 반사 gag reflex 돌아올 때까지)
- post x-ray 시행 (chest, abdomen x-ray)
- lab check (염증수치가 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함)
- 합병증 확인을 위해 30분마다 V/S check
- 배액관 insertion site 위치 확인
- 배액양상 확인 (출혈, 배액량, 통증 등)
6. PCD의 주의사항
- 얇고 긴 배액관이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매 듀티마다 배액되는 배액 색, 양 등을 확인한다
- 배액을 통해 염증수치가 떨어지는지 확인한다
- 배액관을 통해 염증이 발생되는지 확인한다
- 회복 시간 : 대부분 1시간 후 빠르게 회복한다
- 식사 : 가벼운 음식부터 조심히 시작한다
- 음주 : 의사의 권장사항을 따른다
- 후유증 : 불편하거나 이상 증상 시 의료진에게 알린다
- 초기 합병증 : 배액관 조기 폐색, 배액부위 염증
- 후기 합병증 : 배액관 이탈 및 폐색, 패혈증
- 동의서 : 경피적농양배액술 동의서, 진정 전 평가 및 진정 동의서, 진정평가지 동의서, 의식 하 진정 동의서 등 환자에게 필요한 동의서를 받고 검사를 진행한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