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활력징후 6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산소포화도란?' 한눈에 보기

병원 모니터에 빠질 수 없는 산소포화도 수치 호흡곤란의 환자 내원 시 손가락에 모니터를 끼워 바로 산소포화도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호흡과 가장 밀접한 활력징후인 산소포화도 산소포화도란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하는지 알아봅시다 산소포화도란 무엇일까?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 SpO2)는 혈액 내의 산소 농도를 백분율로 표시하며 적혈구와 결합된 산소의 비율을 나타낸다 주로 휴대용 산소포화도 모니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95% 이상 시 정상이며 90% 이하 시 산소 공급이 필요하다 산소포화도의 결정 요소는 무엇일까? 산소 공급량 : 폐에서 흡수한 산소의 양, 호흡을 통해 산소가 흡수되고 혈류를 통해 몸 전체로 운반된다 산소 수송량 : 적혈구에 결합된 산소의 양, 헤모글로빈에 산소가 결합하여 혈류..

간호 2023.10.24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호흡이란?' 한눈에 보기

급격하게 뛰거나 운동하면 저절로 숨이 헉헉하고 쉬어진 경험과 마음이 힘들고 답답할 때 깊은 한숨을 내쉰 경험이 있을 텐데요 우리 생활에 가장 밀접한 호흡, 생명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과 호흡에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호흡이란 무엇일까? 호흡수(respiratory rate, RR)은 1분 동안 호흡 한 횟수를 나타낸다 호흡은 공기를 마시고 내쉬는 과정으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뱉는다 호흡의 횟수와 깊이는 신체 내에서 필요한 산소요구도와 수소 이온 (pH)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호흡의 종류는 무엇일까? 흡기 호흡 (Inspiration) : 공기를 들이마시는 과정으로 흉곽과 폐가 팽창되어 근육이 수축하고 흉곽 용량이 증거하여 외부 공기를 ..

간호 2023.10.20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체온이란?' 한눈에 보기

코로나 이후 많은 가정집에 체온계가 비치되어 온몸이 으슬으슬하거나 유난히 피곤하면 괜히 고막체온 측정해 본 경험이 있을 텐데요 활력징후 중 가장 익숙한 체온, 가장 많이 접한 만큼 중요성도 크기 때문에 도대체 체온이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하는지, 체온 측정이 왜 중요한지 알아봅시다 체온이란 무엇일까? 체온(Body temperature, BT)은 몸 안의 열을 나타내는 지표로 국내에서는 주로 섭씨 (°C)를 사용하며 타국에서는 화씨 (°F)도 사용된다 방사, 전도, 대류, 증발의 열발산 조절을 통해 신체로부터 열생산과 열소실이 정상 진행되며 체온을 통해 신체 내 염증이나 감염의 유무, 체온조절 기능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체온 측정은 체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며 구강, 직장, 고막 등을..

간호 2023.10.18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맥박이란?' 한눈에 보기

일상생활에서 달리기와 운동을 하면 심장이 쿵쾅거리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가만히 있는 내 손목에서 배에서 목에서 동맥이 두근거리며 뛰는듯한 느낌이 느껴진다 이번 시간은 맥박이 무엇인지, 어떻게 박동이 느껴지는지 알아봅시다 맥박이란 무엇일까? 맥박(Heart Rate, Pulse)은 말초동맥에서 느껴지는 혈관의 박동, 쉽게 말해 심박수라고 한다 심장이 수축할 때마다 생기는 혈액의 파동과 분당 심장이 몇 번 수축했는지 알 수 있다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혈관에서 혈액이 흐르는 속도이자 혈액이 심장에서 나간 후 다시 돌아오는 시간도 포함된다 맥박의 종류는 무엇일까? 맥박은 횟수, 리듬, 강도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맥박은 의료인의 진단을 필요로 하고 개별 증상에 따라 다른 치료법이 필요하다 서맥 (..

간호 2023.10.16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혈압이란?' 한눈에 보기

한 번쯤 일상생활에서 "혈압오른다" 라는 말 들어본 적 있을 텐데요 어른들이 뒷목 잡고 왜 혈압 오른다 하는지, 또는 혈압 측정 시 팔이 꽉 조였다 풀린 뒤 혈압 수치가 표시되는데 어떻게 측정되는 건지, 혈압에 대해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이번 시간은 혈압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오르는지 알아봅시다 혈압이란 무엇일까? 혈압 (BP, blood pressure)은 혈액이 심장의 펌프질로 박동되어 혈관 벽에 미치는 혈액의 압력이다 혈압은 체내 혈액량, 심장의 펌프 기능, 말초혈관 저항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수축기압 (systolic pressure) : 최고 혈압, 심장의 수축할 때 높은 압력으로 대동맥에서 분출되는 압력 이완기압 (diastolic pressure) : 최저 혈압, 심장이 이완할 때 동맥..

간호 2023.10.14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활력징후란?' 한눈에 보기

의학 드라마나 대중매체에서 한 번쯤 들어봤을 활력징후, 활력징후라는 말이 낯설다면 이 단어는 어떤가 '바이탈' "바이탈 측정해 주세요" "환자 바이탈이 얼마예요?" "빨리 바이탈 체크해줘요" 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도대체 바이탈이 무엇이길래 저렇게 재촉을 할까 궁금하시다면 바이탈 또는 활력징후에 대해 알아보자 활력징후란 무엇일까? 영어로 vital sign이며 임상에서 ‘바이탈’이라고 한다 vital : 생명, 활력 / sign : 신호, 표시 다시 말해 살아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다 활력징후는 사람의 기본 생체 신호이며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활력징후를 왜 하는 걸까?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목적은 환자의 신체 기초자료를 얻기 위함,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알기 위함, 환자의 ..

간호 2023.10.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