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모니터에 빠질 수 없는 산소포화도 수치
호흡곤란의 환자 내원 시 손가락에 모니터를 끼워
바로 산소포화도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호흡과 가장 밀접한 활력징후인 산소포화도
산소포화도란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하는지 알아봅시다
산소포화도란 무엇일까?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 SpO2)는
혈액 내의 산소 농도를 백분율로 표시하며
적혈구와 결합된 산소의 비율을 나타낸다
주로 휴대용 산소포화도 모니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95% 이상 시 정상이며
90% 이하 시 산소 공급이 필요하다
산소포화도의 결정 요소는 무엇일까?
산소 공급량 : 폐에서 흡수한 산소의 양,
호흡을 통해 산소가 흡수되고 혈류를 통해 몸 전체로 운반된다
산소 수송량 : 적혈구에 결합된 산소의 양,
헤모글로빈에 산소가 결합하여 혈류를 통해 몸 전체로 운반된다
산소포화도를 왜 측정하는 걸까?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목적은
환자의 신체 기초자료를 얻기 위함,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알기 위함,
기초자료 및 비정상적인 산소 공급 상태를 사정하기 위함,
폐 기능과 호흡 질환을 평가하며 진단하기 위함,
호흡 및 심장 기능의 이상 감지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함,
수술 중이나 회복 중 발생할 수 있는 산소부족을 알기 위함,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중요한 지표로 응급처치에 도움이 된다.
산소포화도를 어떻게 측정하는 걸까?
산소포화도의 측정원리는
적외선 흡수 : 혈액 내 헤모글로빈은 산소의 결합 유무에 따라
다른 적외선을 흡수하며 산소 결합 시 적외선을 덜 흡수한다
LED 및 광센서 : 산소포화도 모니터에는 빛을 생성하는 LED와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가 포함되어 있으며 빨간색과 적외선 LED가 사용된다
빛의 통과와 흡수 측정: LED에서 빨간색과 적외선 빛이 피부로 발사될 때 피부를 통과하여 혈관에 도달한다 헤모글로빈이 산소 결합 유무에 따라 빛의 흡수량이 다르다
산소포화도 계산 : 적외선 광센서는 피부에서 반사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빛의 흡수 비율을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한다
산소포화도 모니터는 비침습적이고 빠른 측정 방법으로 환자의 호흡 및 산소 공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귓불, 손가락, 발가락에 광센서를 부착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휴대용 산소포화도 모니터를 사용한다
산소포화도 측정 시 주의사항은 무엇일까?
산소포화도 측정 시 주의사항은
센서를 부착하는 부위에 이물질 및 젤네일을 제거해야 한다
피부 상처 및 색소침착이 있을 경우 수치 측정에 영향을 미친다
조명 및 주변 환경이 정확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산소포화도 모니터링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환자의 산소 공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므로
정확하고 안전하게 산소포화도를 측정해야 한다
산소포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일까?
- 헤모글로빈 수준 : 혈액 내 헤모글로빈의 양은 산소포화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헤모글로빈의 수준이 낮은 경우 산소포화도도 낮아진다
- 혈액 순환량 : 혈액 순환량이 감소하면 조직에 전달되는 혈액의 양이 줄어들어 산소포화도가 낮아진다
- 신체 온도 : 체온이 낮거나 높은 경우 정확한 산소포화도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 주변 환경 : 너무 어둡거나 밝은 경우 정확한 광센서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산소포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은 무엇일까?
- 알코올 : 과도한 알코올은 체내 순환량을 감소시켜 호흡을 억제하고 산소포화도를 낮춘다
- 오피오이드 진통제 : 일부 오피오이드 진통제는 호흡 억제제로 작용하여 산소포화도를 낮춘다
- 해열제 및 진정제 : 일부 해열제와 진정제는 호흡을 억제하거나 영향을 주어 산소포화도를 낮춘다
- 화학요법 약물 : 항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은 산소포화도를 낮춘다
- 노트인과 페니토인 :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량을 증가시키고 산소포화도를 높인다
약물은 항상 의사에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하며
약물에 대한 부작용 및 작용을 알아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정보] 적혈구 장애 ‘빈혈의 종류 - 6가지’ 한눈에 보기 (0) | 2024.05.06 |
---|---|
[간호정보] 적혈구 장애 ‘빈혈(anemia)’ 한눈에 보기 (0) | 2024.05.05 |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호흡이란?' 한눈에 보기 (0) | 2023.10.20 |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체온이란?' 한눈에 보기 (0) | 2023.10.18 |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맥박이란?' 한눈에 보기 (1)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