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급실 32

[응급실 기계] 지속적 신대체요법 CRRT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응급실에서 가장 큰 기계라고 할 수 있는 CRRT 일반 간호사의 몸통만한 크기로 어디서든 존재감도 크고 알람 소리 또한 무척이나 크다 알람은 주로 3가지 경우인데 투석액 교체, 투석백 교체, 관이 막히거나 꼬임이다 오늘 CRRT 환자가 생겼다면 아마 내일도 이 환자가 있을 가능성 90%라 예측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응급실에서 왜 CRRT를 진행할까 오늘 지속적 신대체요법에 대해 알아보자 지속적 신대체요법 CRRT란 무엇일까? 24-72시간 유지되는 신대체요법, 몸의 혈액을 빼내어 순환시킨 후 노폐물과 수분 및 전해질 교정을 통해 몸속으로 다시 넣어주는 체외 투석 방법 지속적 신대체요법을 왜 하는 것일까? 산-염기 균형과 혈류량/전해질 조절을 위해서 급/만성 신부전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을 위해서 혈역학적으로..

응급실 2023.09.12

[응급실 기계] 체외막 산소요법 ECM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응급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 에크모 이 처치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흉부외과에 콜해서 교수님이 직접 진행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처치 후 환자 상태에 따라 CAG이나 SICU를 간다 에크모는 2000만원 이상 매우 고가의 처치이며 국내 약 300대 밖에 없는 특수한 장치가 필요하여 일상적으로 흔히 쓸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어쩌면 응급실에서 할 수 있는 가장 마지막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제 그 최후의 수단에 대해 알아보자 체외막 산소요법 ECMO란 무엇일까? 혈액을 강제로 순환시켜 산소를 공급하는 산화기 심장과 폐의 기능과 역할을 인공적으로 대신해 주는 것 체외막 산소요법을 왜 하는 것일까? 펌프를 통해 심실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서 산화기를 통해 심폐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서 중증의 심폐기..

응급실 2023.09.11

[응급실 기계] 인공호흡기 vent (ventilator) 한눈에 보기

응급실 환자의 중등도의 기준은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는가에 달려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중증도가 매우 높은 처치다 그만큼 손이 가장 많이 가는 환자라고 할 수 있는데 기관삽관 세팅과 삽입, 인공호흡기 세팅과 연결, 진정제, 승압제, 잦은 흡인, 욕창 케어 등등 중환자실을 방불케하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먼저 인공호흡기를 알아보기 전에 인공호흡기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기도삽관, 기관삽관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기도삽관 intubation 이란 무엇일까? 환자의 코나 입을 통해 기관에 관을 삽입하는 처치 (기관절개술에 비해 신속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외과적 상처가 없지만 오래 유지할 수 없다) 기도삽관은 왜 하는 것일까? 산소 공급과 온전한 환기를 시행하기 위해서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를 유지하기..

응급실 2023.09.10

[응급실 처치] 흉강천자, 흉막천자 (thoracentesis) 한눈에 보기

호흡곤란으로 오신 고령의 어르신들은 x-ray를 찍고 초음파기계(sono)로 등을 확인한 후 관을 통해 체액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그 많은 흉수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어떻게 흉수를 제거하는 걸까?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흉강천자라 불리는 thoracentesis에 대해 알아보자 흉수란 무엇일까? 폐와 흉벽 사이에 얇은 흉막 공간에서 정상적으로 소량의 흉수(pleural fluid) 가 생성된 후 흡수되는 기전을 갖고 있다 (흉수 : 두 개의 막 사이에서 윤활액 역할) 흉막 삼출이란 무엇일까? 흉막에서 흡수되는 체액보다 생성되는 체액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것 (흉막삼출의 원인 : 다양한 폐 질환) 흉강천자, 흉막천자란 무엇일까? 흉벽을 통해 흉막 사이에 바늘을 삽입하는 침습적인 처치 흉강천자, ..

응급실 2023.08.29

[응급실 처치] 복수천자 (paracentesis) 한눈에 보기

배가 임산부처럼 부른 환자를 본 적이 있는가? 의료진들이 얼굴만 봐도 이름을 알 정도로 자주 응급실에 복수빼러 오시는 분들도 많다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복수천자라 불리는 paracentesis에 대해 알아보자 복수란 무엇일까? 복강 내 체액이 축적되어 있는 것 정상적인 복수는 복강 내 존재하며 복막과 장기들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윤활액 역할을 한다 과도한 복수는 왜 생기는 것일까? 85%는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복수가 생기면 스스로 림프관을 통해 흡수되지만 간 질환의 이유로 비정상적이게 고여있게 되면 마치 임산부처럼 과도하게 복수가 차게 된다 복수천자란 무엇일까? 과도하게 고인 복수를 카테터를 사용해 배액하는 처치 또는 검사를 위해 복수 천자를 시행하기도 한다 복수천자를 왜 하는 것일..

응급실 2023.08.28

[응급실 처치] 동맥라인 A-line (arterial line) 한눈에 보기

우리 몸에는 동맥과 정맥이 있다 따라서 정맥라인이 있으니 동맥라인도 있다 그러나 사용방법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간단하게라도 꼭 알아두는 것이 좋다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동맥라인이라 불리는 A-line (arterial line)에 대해 알아보자 동맥라인이란 무엇일까? 정맥과 유사하게 동맥에 삽입되어 있는 라인 동맥라인을 왜 삽입하는 것일까? 첫 번째, ABGA monitoring 고유량 산소를 쓰거나 산소포화도가 불안정하고 주기적으로 f/u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매번 찌르지 않고 a-line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필요할 때마다 검사할 수 있다 (ABGA (동맥혈 가스검사) : 몸속의 정확한 산소, 이산화탄소의 가스를 분석할 수 있는 검사) 두 번째, ABP monitoring 지속적으로 즉각적인..

응급실 2023.08.27

[응급실 처치] 중심정맥관 CVC (central venous catheter) 한눈에 보기

응급실에 내원한 두 명의 중환자가 있다 (1) saturation 73%, mental change, cyanosis로 보호자 동의 후 intubation 시행했다 이때 추가로 준비해야 하는 set가 무엇일까 (2) BP 60/40, hematemesis, hematochezia peripheral line까지 없다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 intubation을 유지하기 위해 sedative를 주입해야 하고 BP를 올리는 승압제 사용이 필요한 응급상황 시에는 중심정맥관을 준비해야 한다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중심정맥관이라 불리는 CVC (central venous catheter)에 대해 알아보자 중심정맥관이란 무엇일까? 중심 정맥까지 연결된 관을 삽입하는 것 쇄골하정맥을 통하여 중심 정맥..

응급실 2023.08.26

[응급실 처치] 유치도뇨관, 소변줄 F/C (foley catheter) 한눈에 보기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중 가장 첫 번째는 '생리적인 욕구' 그 욕구를 감소시키는 방법 중 하나인 소변줄이 있다 "환자분 소변줄 하시겠습니다"라고 하면 대부분 두 가지 질문을 듣는다 첫 번째 "그럼 소변 자동으로 나오는 거예요?" 두 번째 "화장실에서 소변보면 되는데 왜 하는 거예요?" 그리고 유치도뇨 처치를 하면 나타나는 두 가지 반응이다 "아악 이거 왜 이렇게 아파요!! 계속 소변 마려운 느낌 드는데" 마지막으로 소변줄 잡아 뽑아서 ballooning 되어있는 채로 시트를 피로 물들이는 delirium 고령 환자로 마무리하면 응급실에서 소변줄 하는 환자들에 대해 알 수 있다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유치도뇨관, 소변줄이라 불리는 foley catheter (f/c)에 대해 알아보자 소변줄이란 무..

응급실 2023.08.25

"씨피알이요!!!!!", CPR(심폐소생술) 상황에서 기억해야할 3가지 (병원 내)

연락받아서 온 call CPR, 재원 환자의 상태변화로 bed CPR까지 내 몸 만한 E-cart(응급카트)는 끌고 다니는 게 일상이라 불릴 정도로 하루에 1건은 기본이며 응급실의 꽃이라 불리는 CPR(심폐소생술) 언제 어디서 일어나든 가장 급박하고 위급한 상황이라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학교에서, 직장에서, 군대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은 빠지지 않고 있으며 대한민국 국민의 대부분은 심폐소생술의 행동은 알고 있으나 정확도는 떨어진다 심폐소생술의 정확도가 5% 증가될 수록 환자의 소생률은 25%나 증가한다고 한다 병원 내에서 진행되는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아보자 Cardiac arrest (심정지, 심장마비) 온몸으로 혈액 순환하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중단된 상태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뇌가 죽는 ..

응급실 2023.08.18

"사람이 쓰러졌어요!!!", CPR(심폐소생술) 상황에서 기억해야 할 3가지 (병원 외)

갑자기 내 눈앞에서 사람이 쓰러진다면? 모르는 척해야 할까? 내가 나서도 될까? 내가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학교에서, 직장에서, 군대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은 빠지지 않고 있으며 대한민국 국민의 대부분은 심폐소생술의 행동은 알고 있으나 정확도는 떨어진다 심폐소생술의 정확도가 5% 증가될수록 환자의 소생률은 25%나 증가한다고 한다 병원 외에서 할 수 있는 정확한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아보자 Cardiac arrest (심정지, 심장마비) 온몸으로 혈액 순환하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중단된 상태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뇌가 죽는 뇌사 상태에 빠지게 됨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씨피알, 심폐소생술)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는..

응급실 2023.08.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