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응급실 처치] 중심정맥관 CVC (central venous catheter) 한눈에 보기

김간토리 2023. 8. 26. 13:00
반응형

 

 

응급실에 내원한 두 명의 중환자가 있다

 

(1) saturation 73%, mental change, cyanosis로

보호자 동의 후 intubation 시행했다

이때 추가로 준비해야 하는 set가 무엇일까

 

(2) BP 60/40, hematemesis, hematochezia

peripheral line까지 없다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

 

intubation을 유지하기 위해 sedative를 주입해야 하고

BP를 올리는 승압제 사용이 필요한 응급상황 시에는 

중심정맥관을 준비해야 한다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중심정맥관이라 불리는

CVC (central venous catheter)에 대해 알아보자

 

 

 

 

 

중심정맥관이란 무엇일까?

 

중심 정맥까지 연결된 관을 삽입하는 것

쇄골하정맥을 통하여 중심 정맥에 카테터를 삽입하는 것

 

(특히 응급실에서 사용하는 중심정맥관은

단기 비터널식 주입용 카테터이다, CVC)

 

 

 

중심정맥관을 왜 삽입하는 것일까?

 

환자의 상태가 불안정하여 

말초혈관 삽입이 불가능할 때

즉각적인 수액과 영양공급이 필요할 때

중심정맥혈 채취, 중심정맥압 측정 등의 처치가 필요할 때

정맥주사용 약물(항암제, 고농도 전해질)이나 

완전 비경구영양(TPN) 등 말초 정맥에 손상을 줄 수 있어 

중심정맥관으로 투여되는 것이 권장될 때 중심정맥관을 삽입해야 한다

 

 

 

어디에 중심정맥관을 삽입할까?

 

subclavian vein, 쇄골하정맥

jugular vein, 경정맥

femoral vein, 대퇴정맥

 

 

 

어떻게 중심정맥관을 삽입할까?

 

쇄골 상부 또는 하부에 국소마취 후 

중심 정맥관을 쇄골 하 정맥으로 삽입하게 된다

카테터 끝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상대정맥과 우심방의 연결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중심정맥관은 정말 다양한 종류가 있다

환자의 상태와 상황에 따라 처치해야 하므로

자세하지만 한눈에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중심정맥관을 나눌 수 있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삽입방법에 따라 터널식 tunneled vs 비터널식 non tunneled

사용시간에 따라 장기적 long term vs 단기적 short term

사용방법에 따라 투석용 dialysis vs 주입용 infusion

 

 

터널식 tunneled : 

피하조직에 카테터를 심고 넣는다, 장기 사용, 

감염에 강함, 3개월 이상 사용 가능, 삽입 어려움, 

카테터 전체나 일부를 피하에 터널을 만들어 심는 방법

 

비터널식 nontunneled : 

바로 정맥에 카테터를 넣는다, 단기 사용, 

감염에 약함, 3주까지 사용 가능, 삽입 쉬움

 

터널식 + 장기적을 하나로 생각하고

비터널식 + 단기적으로 생각하면 훨씬 쉽다

 

 

 

중심정맥관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단기적 비터널식 주입용 카테터 : CVC

단기적 비터널식 투석용 카테터 : Hemo catheter

 

장기적 터널식 투석용 카테터 : Perm catheter

장기적 터널식 주입용 카테터 : Hickman catheter

 

비터널식 말초 삽입 중심 정맥 카테터 : PICC

터널식 정맥포트 : Chemoport

 

 

 

그중 중심정맥관의 대표적인 4가지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CVC, 

단기적 비터널식 주입용 카테터

(short term non tunneled catheter) : 

경제적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피부를 통해 혈관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감염 위험성이 높다

삽입 위치는 subclavian 쇄골하정맥, jugular 경정맥, femoral 대퇴정맥

삽입 위치에 따라 이름을 부른다

 

 

 

PICC,

말초 중심정맥관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 

삽입 후 3-6개월간 유지

시술이 간단하고 기흉, 혈흉 발생이 거의 없다

 

 

 

Hickman,

장기적 터널식 주입용 카테터

(long term tunneled catheter) : 

삽입 위치는 subclavian 쇄골하정맥, 

jugular 경정맥, cephalic vein요측정맥

상행 감염을 예방하여 장기간 유지가 가능함

장기치료를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됨

6개월-수년 사용 가능

 

 

 

Chemoport, 

터널식 정맥포트 : 

카테터와 포트로 이루어져 있음

포트는 상부 흉부벽 피하조직에 이식하여

피부밑에 동그란 동전 크기의 포트가 있음

포트에는 직각으로 된 특수 바늘(huber needle)을 사용

피부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활동이 자유롭고 감염이 적음

6개월 이상 - 수년간 유지

 

 

 

 

중심 정맥압은 무엇인가?

 

전신 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

심장의 수축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심방 내 혹은 대정맥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심장의 pump 작용을 평가하고 순환혈액량을 측정함

울혈성 심부전증을 조기에 발견 및 수액 보충의 기준을 얻기 위함

 

 

 

중심정맥관을 삽입하면 발생하는 합병증은 무엇인가?

 

중심정맥관 삽입으로 발생하는 합병증은 대략 10%이며

감염, 기흉, 혈전증, 동맥 천자 등 있을 수 있으며 드물게 사망함

시술 후 통증, 열, 출혈, 호흡 장애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그 즉시 담당 의료진에게 이야기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