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응급실 처치] 동맥라인 A-line (arterial line) 한눈에 보기

김간토리 2023. 8. 27. 13:00
반응형

 

 

우리 몸에는 동맥과 정맥이 있다

따라서 정맥라인이 있으니 동맥라인도 있다

그러나 사용방법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간단하게라도 꼭 알아두는 것이 좋다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동맥라인이라 불리는

A-line (arterial line)에 대해 알아보자

 

 

 

 

동맥라인이란 무엇일까?

 

정맥과 유사하게

동맥에 삽입되어 있는 라인

 

 

 

동맥라인을 왜 삽입하는 것일까?

 

첫 번째, ABGA monitoring

고유량 산소를 쓰거나 산소포화도가 불안정하고

주기적으로 f/u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매번 찌르지 않고

a-line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필요할 때마다 검사할 수 있다

(ABGA (동맥혈 가스검사) : 몸속의 정확한 산소,

이산화탄소의 가스를 분석할 수 있는 검사)

 

두 번째, ABP monitoring

지속적으로 즉각적인 혈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더 정확한 동맥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수동/자동혈압계로 혈압을 측정하는 경우

측정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며 혈압 변화를 확인하기 어려움)

 

 

 

어디에 동맥라인을 삽입할까?

 

radial artery, 요골동맥

brachial artery, 상완동맥

femoral artery, 대퇴동맥

dorsal artery, 족배동맥

 

 

 

어떻게 동맥라인을 삽입할까?

 

정맥라인을 삽입하는 것과 유사하다

동맥의 맥박을 느끼며 카테터를 삽입한다

22G 이상이거나 a-line 전용 catheter를 사용한다

 

pressure bag(pumping기)를 N/S 1L에 연결한다

flushing 시스템이 있는 전용 line을 사용한다

 

 

 

제로잉(zeroing)은 무엇인가?

 

외부 압력이 동맥 모니터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다른 압력을 제거하여 동맥압의 정확도를 높여준다

a-line을 세트에 연결했으면 '제로잉'이 뜬다

처음 연결했을 때 제로잉을 필히 시행한다

 

 

 

동맥라인을 삽입하면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감염을 관찰한다

가능하다면 NIBP와 ABP도 함께 체크한다

삽입 부위의 순환 상태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절대 약물을 주입하지 않는다 (동맥혈이기 때문)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