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진들이 얼굴만 봐도 이름을 알 정도로
자주 응급실에 복수빼러 오시는 분들도 많다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복수천자라 불리는
paracentesis에 대해 알아보자

복수란 무엇일까?
복강 내 체액이 축적되어 있는 것
정상적인 복수는 복강 내 존재하며
복막과 장기들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윤활액 역할을 한다
과도한 복수는 왜 생기는 것일까?
85%는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복수가 생기면 스스로 림프관을 통해 흡수되지만
간 질환의 이유로 비정상적이게 고여있게 되면
마치 임산부처럼 과도하게 복수가 차게 된다
복수천자란 무엇일까?
과도하게 고인 복수를 카테터를 사용해 배액하는 처치
또는 검사를 위해 복수 천자를 시행하기도 한다
복수천자를 왜 하는 것일까?
첫 번째, 검사 시행
복수가 새롭게 발견되어 진단을 위함
복수를 채취하여 검사를 시행하기 위함
두 번째, 복압 완화
복수로 인한 복압을 완화하기 위한 처치
복부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는 처치

어디에 복수천자를 할까?
복수가 고여있는 부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주로 하복부나 배꼽과 치골결합 중간 부분 선택한다
어떻게 복수천자를 할까?
초음파로 복부에 복수가 차있는 곳을 확인한 후
상체를 약간 세운 자세로 시술 부위를 국소마취한다
복수천자를 삽입할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다량의 복수를 배액하는 경우 저혈량쇼크
(hypovolemic shock)를 주의해야 함
(한 번에 3L 이상 배액 하지 않거나 자주 v/s check)
알부민(albumin)으로 체내 volum을 늘리며 배액 해야 함
기흉이나 복강 내 출혈 합병증 발생 위험성 있음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응급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실 기계] 인공호흡기 vent (ventilator) 한눈에 보기 (0) | 2023.09.10 |
---|---|
[응급실 처치] 흉강천자, 흉막천자 (thoracentesis) 한눈에 보기 (0) | 2023.08.29 |
[응급실 처치] 동맥라인 A-line (arterial line) 한눈에 보기 (0) | 2023.08.27 |
[응급실 처치] 중심정맥관 CVC (central venous catheter) 한눈에 보기 (0) | 2023.08.26 |
[응급실 처치] 유치도뇨관, 소변줄 F/C (foley catheter) 한눈에 보기 (0)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