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응급실 기계] 인공호흡기 vent (ventilator) 한눈에 보기

김간토리 2023. 9. 10. 14:00
반응형

 

응급실 환자의 중등도의 기준은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는가에 달려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중증도가 매우 높은 처치다

 

그만큼 손이 가장 많이 가는 환자라고 할 수 있는데

기관삽관 세팅과 삽입, 인공호흡기 세팅과 연결, 

진정제, 승압제, 잦은 흡인, 욕창 케어 등등

중환자실을 방불케하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먼저 인공호흡기를 알아보기 전에

인공호흡기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기도삽관, 기관삽관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기도삽관 intubation 이란 무엇일까?

환자의 코나 입을 통해 기관에 관을 삽입하는 처치

(기관절개술에 비해 신속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외과적 상처가 없지만 오래 유지할 수 없다)

 

 

 

기도삽관은 왜 하는 것일까?

산소 공급과 온전한 환기를 시행하기 위해서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부 약물 투여의 통로가 되며

위 내용물로부터 기도 보호하기 위해서

 

 

 

기도삽관의 적응증은 무엇일까?

혼수, 심정지, 무의식 환자

ventilator을 적용해야 하는 환자

 

 

 

어떻게 기도삽관을 할까?

  1. 준비 : 물품 준비를 마친 후 환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머리를 뒤로 신전시켜 최대한 기도를 곧게 한다
  2. 전 산소화 : ambubagging을 통해 폐와 조직에 충분히 산소를 제공한다
  3. 진정 : 근 이완제, 진정제를 환자에 맞는 용량으로 주입한다
  4. 삽입 : 후두경을 넣고 e-tube를 삽입 후 위치에 맞게 고정하며 ballooning 한다
  5. 확인 : 청진기로 청진하거나 x-ray를 통해 삽입 위치를 확인한다

 

 

 

인공호흡기 ventilator란 무엇일까?

ventilation은 환기라는 뜻으로

스스로 호흡하기 어려울 때 기계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과정

 

 

 

인공호흡기는 왜 하는 것일까?

정상적인 환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환자의 호흡 환기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호흡하는데 불필요한 힘과 심근의 부담 줄이기 위해서

기계를 통해 압력, 양, 횟수를 적용하여 산소화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공호흡기의 적응증은 무엇일까?

스스로 환기를 유지할 수 없는 환자

다른 산소기구로 환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환자

호흡부전으로 ABGA 결과 산-알칼리 교정이 필요한 환자

 

 

 

인공호흡기의 방식 ventilation mode는 무엇일까?

 
자발호흡이 없을 때
자발호흡이 미약할 때
자발호흡이 있을 때
CMV
SIMV
PSA
VCV, V/C
-
CPAP
PCV
-
-

 

환자 자발호흡이 없을 때 : 

 

CMV, 기계 강제 환기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 

인위적인 호흡수를 유지하며 모든 호흡이 인공호흡기로 제어되는 모드

 

VCV, V/C, 용적 조절 환기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 : 

환기 시 가스의 양 조절하여 설정된 값으로 호흡마다 제어되는 모드

 

PCV, 압력 조절 환기 (pressure controlled ventilation) : 

환기 시 가스의 압 조절하여 설정된 압력으로 호흡마다 제어되는 모드

 

-> 자발적 호흡이 없는 환자에게 적용되는 인공호흡기 모드

-> 자발적 호흡이 돌아오면 기계에 설정된 모드와 부딪치게 됨

-> 환자의 체중으로 값을 정하며 폐가 충분히 팽창하는지 확인 필요

 

 

 

환자 자발호흡이 미약할 때 : 

 

SIMV, 동시적 간헐적 강제환기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 

환자의 호흡 노력이 감지되면 기계가 환자에게 맞추어 환기하는 모드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 적용된 값으로 기계호흡을 계속 시행함

 

-> 인공호흡기 제거(weaning) 전에 많이 사용함

-> 기계 호흡 수를 줄이며 자발호흡 늘이는 방법으로 사용

 

 

 

환자 자발호흡이 있을 때 : 

 

PSA, 압력 보조 환기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호흡 근육과 노력에 대한 부담을 압력으로 줄여 환기하는 모드

 

CPAP, 지속적 기도 양압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흡기나 호기 시 일정한 양압을 걸어두어 환기하는 모드

자발호흡과 PEEP이 함께 환자에게 적용되는 모드

 

-> 자발호흡이 없거나 미약한 환자에게 적용 불가능

-> 인공호흡기 제거(weaning) 직전에 많이 사용함

 

 

 

 
인공호흡기에 사용되는 용어, 정의, 정상 범위는 무엇일까?
용어
정의
정삼 범위
TV 
tidal volume 
일회호흡량
1회 호흡 시 전달되는 공기의 양
400-500ml
RR
respiratory rate
호흡수
각 분당 전달되는 호흡 수, 
인공호흡기에 설정한 환기횟수
10-20회/min
Ti
inspiratory time
흡기시간
각 호흡당 흡기 시간의 양
0.7-1.0초
Pi
inspiratory
pressur
흡기압
기도 안에 걸리는 압력
5-90cmH2O
I:E ratio 
흡기 대 호기 비율
각 호흡당 흡기와 호기 사이의
시간비율
보통 1:2
FIO2
흡입산소농도
환자에게 적용되는 산소의 농도
21-100%
PEEP
호기말 양압 호흡
폐의 가스교환을 위해 환기 시
기도 내에 넣는 양압
3-15cmH2O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