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중 가장 첫 번째는 '생리적인 욕구'
그 욕구를 감소시키는 방법 중 하나인 소변줄이 있다
"환자분 소변줄 하시겠습니다"라고 하면 대부분 두 가지 질문을 듣는다
첫 번째 "그럼 소변 자동으로 나오는 거예요?"
두 번째 "화장실에서 소변보면 되는데 왜 하는 거예요?"
그리고 유치도뇨 처치를 하면 나타나는 두 가지 반응이다
"아악 이거 왜 이렇게 아파요!! 계속 소변 마려운 느낌 드는데"
마지막으로 소변줄 잡아 뽑아서 ballooning 되어있는 채로
시트를 피로 물들이는 delirium 고령 환자로 마무리하면
응급실에서 소변줄 하는 환자들에 대해 알 수 있다
응급실에서 흔한 처치 5가지 중 유치도뇨관, 소변줄이라 불리는
foley catheter (f/c)에 대해 알아보자

소변줄이란 무엇일까?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량을 측정함으로
말초혈관의 혈류상태나 콩팥기능을 확인하는 도뇨법이다
소변줄을 통해 소변이 나오게 되는 원리는 무엇일까?
요로를 통해 삽입된 카테터가 방광 끝에 닿아
소변을 카테터를 통해 배출하게 하는 방법이다
소변줄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단순도뇨 vs 유치도뇨)
관을 이용해 소변을 빼낸다는 것이 공통점이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목적과 기간이다
단순도뇨의 대부분 목적은 검체 채취이며
얇은 관으로 소변을 잠시 채취한 후 제거한다
유치도뇨의 목적은 장기적으로 소변을 배출시키며
굵은 관을 넣어 소변 주머니를 고정시킨다
그렇다면 소변줄을 해야 하는 환자는 누구인가?
소변을 스스로 배출할 수 없는 환자
장시간 부동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환자
방광을 (지속적으로) 세척해야 하는 환자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해야 하는 환자
수술 전 중 후 환자의 방광손상을 예방해야 하는 환자
상태가 불안정하며 화장실까지 가서 소변보기 위험한 환자 등이 있다
도뇨법은 중요한 처치이며 치료이다


소변줄의 처치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도뇨관의 사용은 요로 감염이나 조직 손상과 같은
합병증이 수반되므로 무균술이 중요하다
상황에 맞는 카테터와 f/c set를 무균법으로 준비한 후
여자환자를 배횡와위 자세로 변경 후 소독한다
(여자 : 외음부 -> 대음순 -> 소음순 ->요도)
남자환자를 앙와위 자세로 변경 후 소독한다
(남자 : 원을 그리듯이 요도구를 바깥쪽으로 소독)
카테터를 삽입한 후 멸균증류수로 ballooning 한다
(ballooning : 도뇨관 앞을 풍선처럼 부풀려 고정시키는 역할)
소변이 나오는 것을 확인한 후 고정한다
* 여자 환자 유치도뇨 시 주의사항
여자는 도뇨관을 삽입할 시 vaginal(질)과 urethra(요도)를 구분해야 한다
질과 요도가 근접해있기 때문에 도뇨관을 질에 삽입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삽입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첫 번째, 환자의 통증 반응
주로 요도에 도뇨관을 삽입하면 90%가 통증을 호소한다
(정확하지 않은 방법이기 때문에 애매할 때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한다)
두 번째, 소변 배출 확인
도뇨관 삽입 후 끝을 살짝 열어서 소변이 줄을 통해 나오는지 확인한다
(ru, 잔뇨가 없는 환자일 경우 세 번째 방법을 사용한다)
세 번째, ballooning 후 당겨보기
도뇨관을 질에 삽입 시 살짝 당겨보면 쉽게 빠진다
빠지지 않고 걸리는 듯한 느낌이 들면 요도가 맞다
(그러나 확인으로 인해 요도가 다치지 않도록 살짝 약하게 당겨야 한다)

소변줄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며 사용기간을 최소화한다
관이 꼬이지 않도록 하며 막혀있지 않은가 확인한다
항상 방광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감염 예방을 위해 처치 전/후 시 손 위생과 무균술을 적용한다
방광에 삽입된 도뇨관부터 소변주머니까지 무균상태로 유지한다
소변줄 제거 시 ballooning을 제거한 후 소변줄을 뺀다
'응급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실 처치] 동맥라인 A-line (arterial line) 한눈에 보기 (0) | 2023.08.27 |
---|---|
[응급실 처치] 중심정맥관 CVC (central venous catheter) 한눈에 보기 (0) | 2023.08.26 |
"씨피알이요!!!!!", CPR(심폐소생술) 상황에서 기억해야할 3가지 (병원 내) (0) | 2023.08.18 |
"사람이 쓰러졌어요!!!", CPR(심폐소생술) 상황에서 기억해야 할 3가지 (병원 외) (0) | 2023.08.17 |
"뭐? 난 가슴이 답답한건데,, 몸을 뚫어서 심장혈관을 본다고?", CAG(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 조영술) (0) | 202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