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비용을 알기 위해서
먼저 알아야할 것이 몇가지 있다
모든 응급실 비용은
환자에게 적용한 응급의료서비스를 통해
응급의료관리료에 기반하여 심사 후 부과된다
환자의 중증도, 개인적인 보험,
의료기관의 종별과 국가적인 측면까지
다양한 요소가 비용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응급실 비용은 환자마다 천차만별이며
자세한 정보는 직원에게 문의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
응급의료수가와 관리료에 대한 기본 정보와
어떻게 계산이 되고 부담이 되는지 알아보자

응급의료서비스란 무엇일까?
응급의료서비스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응급 상황에서 응급의료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응급 상황에 처치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안전보장 및 즉각적인 치료를 가능하게한다
응급의료서비스의 구성요소는 무엇일까?
의료 인력 : 환자를 처치하는 데 필요한
의료기술 및 지식을 가지고 있는
의사, 간호사, 구급대, 응급구조사가 있다
구급 장비 : 환자를 이송하기 위한 구급차를 포함한
이송도구 및 다양한 응급 의료 장비가 있다
응급 통신 : 응급번호로부터 호출을 받아 상황 평가 후
필요한 인력과 구급차를 파견한다
병원 협력 : 응급의료시설과 협력하여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하고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교육 훈련 : 환자의 안전을 위해 정기적으로
교육 및 훈련을 받아 치료를 제공한다
의료수가란 무엇일까?
의료수가 = 의료비용
의료서비스에 대한 비용
의료와 관련된 행위에 대해 지불하는 가격
의료행위는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행위에 따라
진료비, 치료비, 시술비, 수술비로 나뉘어
의료수가 즉, 의료비용이 책정된다
응급의료수가란 무엇일까?
말그대로 응급실에서 발생하는
응급 의료서비스에 대한 비용이다
응급 의료행위는 다양할 뿐아니라
일반 의료행위보다 비용이 더 높게 발생한다
우리나라 의료보험은 무엇일까?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국민건강보험체계이다
모든 국민이 가입되어있는 사회보장 제도이며
이 제도를 통해 모든 병원에서 진료와 치료를 받는다
의료수가는 어떻게 부담될까?
의료수가, 즉 의료비용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보험금 (70-90%) + 환자의 본인부담금 (10-30%)
예를들어 총 10,000원 의료비가 나왔다면
7,000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험금으로 정산되고
3,000원은 환자 본인이 본인부담금으로 지불한다
따라서 병원에서 모든 의료서비스 받은 후 비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정산되는 보험금을 제외한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항목 비용을 최종적으로 지불한다
급여와 비급여의 차이는 무엇일까?
급여 : 보험금을 지급하는 항목
비급여 :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항목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환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는 항목과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항목이 있다
응급의료관리료란 무엇일까?
응급의료관리료
(Emergency Medical Services Fee)
응급 상황에서 제공된
의료 서비스 및 치료에 대한 비용으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응급의료기관 또는 병원에서 부과하는 비용이다
응급실의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수비와 별도로 부과하는 비용으로
응급증상이 아닌 상태로 응급실에 방문한 경우
비응급 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는
본인이 응급의료관리료 전액을 부담해야한다
또한 응급의료기관의 종별에 따라
응급의료관리료의 비용이 차등 부과된다
응급의료관리료의 항목은 무엇일까?
의료 처치 비용 :
응급 의료 기관에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의료 진단 및 처치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비용
(문진, 혈액 및 영상 검사, 드레싱, 약물 등)
의료 재료 비용 :
응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장비 및 소모품에 대한 비용
(침상, 산소, 모니터, 카테터, 약물 주입 소모품 등)
구급 이송 비용 :
응급 상황에서 환자를 구급차로 이송하고
응급 의료 시설 또는 병원으로 이송하는 비용
의료 서비스 비용 :
응급실에서 환자에 대한 서비스 및 치료를 제공하는
의사, 간호사 및 의료진의 진료료에 대한 비용
관리 운영 비용 :
응급 의료기관 또는 병원 자체에서
응급 상황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비용
환자의 상태와 필요한 의료 서비스에 따라 다르고
의료기관과 국가/지역의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응급의료관리료의 계산은 어떻게 될까?
3가지 종류의 의료기관마다
응급의료관리료 기준액 및 점수가 정해진다
1. 중앙응급의료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
2. 분야별 전문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3. 지역응급의료기관
+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점수
의료기관 점수 x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 응급의료관리료
응급실은 왜 비용이 비쌀까?
응급관리료 가산 :
응급실을 운영하기 위해 추가로 들어가는 비용인
응급의료관리료를 환자에게 부담시키기 때문이다
응급 환자인 경우 국민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지만
비응급 환자인 경우 대략 5만원 정도 전액 부담된다
야간진료 시 가산 :
공휴일 및 18~09시는 야간진료 가산이 붙는다
처방 및 의료행위 자체에 가산이 붙기 때문에
대략 50-200% 야간수가 가산이 환자에게 부담된다
응급실행위료 가산 :
응급실 의료진들의 업무강도가 높을 뿐만아니라
모든 기계와 처치에 대한 행위에 가산이 붙으므로
기본적으로 진료비가 20%이상 추가 부담된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응급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실 검사] CFS (colonofiberscope) 대장내시경 한눈에 보기 (1) | 2023.12.10 |
---|---|
[응급실 검사] EGD (esophagogastroduodenoscopy) 상부소화관내시경, GFS (gastrofiberscopy) 위내시경 한눈에 보기 (0) | 2023.12.08 |
[응급실 정보]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란? 한눈에 보기 (0) | 2023.11.28 |
[응급실 정보] 응급실의 기본검사들이란? 한눈에 보기 (0) | 2023.11.26 |
[응급실 정보] 응급실 내원 시 절차 및 과정이란? 한눈에 보기 (0)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