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간호정보] 백혈구 장애 ‘백혈병’ 한눈에 보기

김간토리 2024. 6. 6. 10:00
반응형

 

1. 백혈병의 정의

 

백혈병 (leukemia, 혈액 암)

 

혈액과 골수, 비장, 림프절 등의 조혈기관에

하나 이상의 미분화된 백혈병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고 축적되어 있는 악성질환

 

백혈병은 골수에서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혈액과 골수에서 증식하는 질병


2. 백혈병의 원인

 

어떤 하나의 단일 요인에 의해서가 아닌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

 

급성백혈병의 높은 위험요인: 

호지킨병, 비호지킨림프종, 다발성 림프종, 

진성적혈구증가증, 골수 질환, 면역결핍증 등

 

유전적 요인 : 특정 유전자 변이와 연관

환경적 요인 : 방사선 노출, 화학 물질(벤젠 등) 노출

바이러스 감염 : 인간 T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등


3. 백혈병의 병태생리

 

백혈병은 단일 줄기세포의 약성 변화로

천천히 증식하나 비정상적으로 분화하고

수명은 길어지며 골수에 축적된다

 

다른 정상 혈구세포의 증식을 억압하게 되고

감염이나 염증 과정에서 비효율직으로 작용하여

심한 빈혈, 비장 비대, 출혈 장애가 발생한다


4. 백혈병의 종류

 

급성 백혈병 (Acute Leukemia)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

어린이 백혈병 중 가장 흔함 (4세 이전, 특히 2-9세)

특징 : 급성 림프구의 비정상적인 증식

증상 : 출혈, 발열, 점진적 피로 및 허약

 

-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 (청소년기, 60-70대)

특징 : 골수계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

증상 : 심한 감염, 비정상적 출혈, 골수와 비장 과형성증

 

 

만성 백혈병(Chronic Leukemia)

 

-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 

주로 성인에게 발생 (고령층)

특징 : 성숙형의 비기능적 림프구의 비정상적인 증식

증상 : 초기 무증상, 림프절 비대, 감염 빈도 증가

진행 후 림프구가 골수, 비장 등에 침윤되어 증상 유발

 

-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 

주로 성인에게 발생 (25-60세, 40대 가장 높음)

특징 : 필라델피아 염색체라는 특정 유전자 변이,

골수에 성숙형의 악성 과립구가 과도하게 증식

증상 : 대부분 급성 백혈병과 유사한 증상,

치료에 반응이 좋음, 증상 개선되면 정상적인 생활 가능


5. 백혈병의 증상과 징후

 

일반적인 증상 : 피로, 발열, 빈혈, 잦은 감염,

쉽게 멍이 들거나 출혈, 림프절, 간, 비장 비대,

대사율 증가, 림프샘증, 골통증, 구강 병변 등

 

급성 백혈병 : 

미숙 세포의 증식이 특징, 

대부분 급속한 임상 경과가 진행, 

정상 백혈구 부족, 발열, 점상출혈

 

만성 백혈병 : 

성숙한 형태의 백혈구가 이상 증식이 특징, 

대부분 완만한 임상 경과가 진행, 체중 감소, 비장 비대


6. 백혈병의 진단

 

협동적 관리 :

화학요법, 수혈, 항생제, 진균제, 골수 이식 수행

 

진단 : 

- 혈액 검사 : 비정상적인 백혈구 수치 확인

전혈구 검사 CBC : 백혈구의 양 확인검사

말초혈액 도말검사 : 백혈구의 질 확인검사

- 골수 검사 : 골수의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 확인,

특징적인 골수소견은 미성숙 형태의 백혈구가

밀집되어 골수세포가 전체적으로 증가, 

- 유전자 검사 : 특정 유전자 변이 확인


 

7. 백혈병의 치료

 

치료목표 : 대부분의 환자에게 관해를 획득하고 

질병을 조절하는 것이 현실적인 치료 대안

(관해 : 일시적이든 영속적이든 증상이 감소한 상태)

 

완전관해 : 질병의 징후가 전혀 없고 

골수와 말초 혈액소견이 정상인 경우 (완전 치료는 아님)

부분 관해 : 질병의 징후가 없고 혈액소견 정상이지만

골수 내에 아직 암세포가 존재하는 상태

 

 

화학요법 (Chemotherapy) : 

항암제를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

관해를 유도하거나 획득하기 위해 시도됨, 

다량의 항암제를 투여하는 공격적인 치료 과정, 

6-8주 정도 소요, 관해 효과는 약 4주 소요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고에너지 방사선을 사용

골수 이식 (Bone Marrow Transplant) : 

건강한 골수를 이식하여 정상적인 혈액세포 생산을 회복

표적 치료 (Targeted Therapy) : 

특정 유전자 변이 또는 단백질 표적으로 하는 약물 사용

면역요법(Immunotherapy) : 

면역 체계를 강화하여 암세포를 공격


8. 백혈병의 예후

 

- 정기적인 추적 검사와 모니터링

-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 감염 예방 조치 (손 씻기, 예방 접종 등)

 

유형, 연령, 건강 상태, 치료 반응에 따라 다르다

급성 백혈병은 빠른 치료가 필요하며,

만성 백혈병은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