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적혈구증가증의 정의
적혈구증가증 (polycythemia, 다혈구혈증)
많은 수의 적혈구가 생산되어서
혈액 내에 순환하고 있는 상태,
적혈구의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
적혈구는 혈액 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체내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려는 몸의 반응으로
적혈구 증가는 체내의 산소 공급이 늘어나거나,
산소 요구량이 증가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적혈구 증가증 발생 시 혈액의 점도를 높여
혈액 순환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2. 적혈구증가증의 원인
1. 일차성 원인 : 주로 골수의 이상으로 인해
자발적으로 적혈구가 과다 생성된다
2. 이차성 원인 : 저산소증, 호르몬 이상, 신장 종양 등
산소 운반능력 저하에 대한 반응으로 과다 생성된다
고산소 요구량 : 만성적인 폐 질환, 빈혈, 타액암 등
산소 요구량이 높은 질병들은 적혈구 증가를 유발한다
탈수 : 혈액을 점도를 증가시켜 적혈구 비율이 높아진다
혈액 손실 : 출혈이나 외상으로 적혈구가 증가한다
3. 적혈구증가증의 종류
1. 일차성 적혈구증가증(Primary Polycythemia) :
골수에서 적혈구가 과도하게 생성되는 질환,
주로 JAK2 유전자 변이와 관련이 있으며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Vera)은
만성 골수증식성 질환으로 분류된다
2. 이차성 적혈구증가증(Secondary Polycythemia) :
고산지대 거주, 만성 폐질환, 심장질환 등으로 인한
산소 부족이 적혈구 생성을 자극하여 생기는 질환
신장 질환, 종양 등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해
적혈구 증가가 발생할 수 있으며 호르몬 이상이다
4. 적혈구증가증의 검사
혈액 검사 : 헤마토크릿(Hematocrit) 수치와
헤모글로빈(Hemoglobin) 수치의 증가 확인
골수 검사 : 골수 생검으로 골수의 상태를 평가
유전자 검사 : JAK2 유전자 변이 여부 확인
에리스로포이에틴 수치 검사
: 이차성 적혈구증가증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검사
5. 적혈구증가증의 증상
- 두통
- 현기증
- 시야 장애
- 가려움증 (특히 목욕 후)
- 고혈압
- 비장 비대
- 피로감
- 혈전 형성 경향
6. 적혈구증가증의 치료와 간호
치료 목표 :
혈액량과 점도를 저하시키는 것,
골수 활동을 저하시키는 것
일차성 적혈구증가증 :
혈액 내 적혈구 수를 줄이기 위해
정맥 절개술(Phlebotomy) 실시,
혈전 형성 방지를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을 투여
심한 경우, 골수 억제제를 사용 가능
이차성 적혈구증가증 : 원인 질환을 치료
만성 저산소증이 원인인 경우 산소 치료를 시행,
호르몬 이상이 원인인 경우 해당 원인 교정
7. 적혈구증가증의 합병증
혈전증 : 혈액 점도 증가로 인한 혈전 형성 위험
출혈 : 혈소판 기능 장애로 인한 출혈 위험 증가
심혈관 질환 : 고혈압 및 심장 부하 증가로 인한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정보] 백혈구 장애 ‘백혈병’ 한눈에 보기 (0) | 2024.06.06 |
---|---|
[간호정보] 백혈구 장애 ‘호중구감소증’ 한눈에 보기 (0) | 2024.06.01 |
[간호정보] 적혈구 장애 ‘빈혈의 종류 - 6가지’ 한눈에 보기 (0) | 2024.05.06 |
[간호정보] 적혈구 장애 ‘빈혈(anemia)’ 한눈에 보기 (0) | 2024.05.05 |
[간호학과] 기본지식 및 간호정보 ‘산소포화도란?' 한눈에 보기 (0)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