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응급실 정보] 응급의료체계(EMSS)란? 한눈에 보기

김간토리 2023. 11. 20. 10:00
반응형

모든 일에는 순서와 체계가 존재하는데요

그렇다면 응급실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을까

응급실이 없었을 때는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었을까

환자의 이송부터 치료까지 어떤 체계가 진행될까

 

응급실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응급의료체계에 대해 알아봅시다

 

 

 

 

 

응급의료체계란 무엇인가?

 

응급의료체계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EMSS)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의료 관리와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체계

신속한 응급처치 및 중재를 통해 

생명의 위협을 감소시키기 위한 체계

 

응급의료체계를 통해

의학적으로는 응급의료를 병원 밖으로 확대되며,

사회적으로는 사회보장 및 복지제도의 향상되며,

국가적으로는 국민의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정책이다

 

새로운 영역이 아니라 기존의 응급의료를 

집중화 및 전문화 시킨 포괄적인 체계이고

환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사회에서 응급 상황에 대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시 한번 쉽게 정리하자면

119 구급대인 출동 팀과 병원 응급의료팀의 협력이며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적절한 처치 시행 후

수용 가능한 병원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하고

병원에서 응급처치 시행을 통해 진행되는 과정이다

 

 

 

응급의료체계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결과인 경제성장,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의 생활과 의식수준 향상,

대형사고 및 재해의 경험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대한민국 응급의료체계 구축 과정

1960년대 응급환자들이 응급조치를 받지 못해서 사망

1979년 대한의학협회 야간응급환자 이송센터 개설

1982년 119 구급대 개설 구급출동이 공공 서비스 구축

1991년 응급의료시행규칙 제정, 응급의료체계 도입

(사고 : 1993년 목포 아시아나 추락 사고)

1994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정, 

응급의료체계의 기틀 마련

(사고 :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5년 공식적인 응급구조사 양성 및 배출

(사고 : 1995년 대구 지하철 가스 폭발 사고)

(사고 :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6년 첫번째 응급의학과 전문의 시험 진행

2000년 현재와 같은 응급의료기관 체계 수립

 

 

 

응급의료체계의 목적은 무엇인가?

 

생명구조 : 응급상황에 개입하여 생명을 구조하기 위함

안전확보 : 응급의료를 통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

상황평가 :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를 제공하기 위함

운송 이송 : 적절한 의료시설로 이송하기 위함

시간 감소 : 시간을 절약하여 골든타임 확보하기 위함

응급 상황 대비 : 신속한 응급치료를 통해 생명 구조하기 위함

 

 

 

응급의료체계의 단계는 무엇인가?

 

응급의료체계는 응급의료가 제공되는 장소에 따라

크게 병원 전단계 / 병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병원 전단계 (pre hospital phase)

  1. 환자 발생 및 신고
  2. 119 구급대 출동
  3. 상담원의 응급처치 요령 지도
  4. 구급대의 현장 응급처치
  5. 구급차-병원 정보교환
  6. 수용 가능 병원 결정 후 이송

 

병원 단계 (in hospital phase)

  1. 환자 상태 파악
  2. 신속한 응급처치
  3. 진단을 위한 기본검사
  4. 결과 판독 및 추가검사
  5. 입원치료 및 수술 결정

 

 

 

응급의료체계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응급의료체계의 구성요소는 

필요나 의료환경 변화에 따라 가감될 수 있고

특정 요소를 강조하여 운영할 수 있다

 

미국에서 응급의료체계 관련 법령을 제정하며

예산 편성 시 고려 사항들을 나열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1. 교육 및 훈련 (training)
  2. 정보·통신체계 (communications)
  3. 병원전 이송기관 (out-of-hospitaltransport agencies)
  4. 병원간 이송기관 (interfacility transportagencie)
  5. 응급의료기관 (receiving facilities)
  6. 전문응급의료시설 (specialty care units)
  7. 신고접수 및 반응 (dispatch)
  8. 대중교육 및 정보제공 (public information & education)
  9. 질 개선 (quality improvement)
  10. 재난대비계획 (disaster management)
  11. 상호지원 (mutual aid)
  12. 업무지침 (protocols)
  13. 재정 (financing)
  14. 의료지도 (physician medical oversight)

 

 

 

대한민국에서 응급의료체계가 적용되는 상황은 언제인가?

 

재해 대비 : 태풍, 홍수, 기타 자연재해 대비 및 대응

대규모 사고 대응 : 교통사고, 화재, 산업 등 사건 대응

코로나19 대응 : 확진자 치료 및 격리와 의료 대응

 

응급의료체계는 일상적이고 일반적인 응급상황부터 

대규모 재난/재해와 크고 작은 사고 상황에서

응급의료 서비스 및 체계를 적용할 수 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