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간호학과] 심혈관계 간호진단 및 중재 한눈에 보기 요약집

김간토리 2023. 9. 30. 10:00
반응형

 

 

실습 중 case study와 임상 속 처치를 위해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진단과 중재를 내리는 것은

간호사라면 꼭 해야 할 기본적인 지식입니다

 

각 파트별 주요 질환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진단에 적합한 간호중재 및 근거를 위해

김간토리와 함께 한눈에 보기로 공부해 봅시다


심근경색증 환자의 간호과정

 

[간호진단 : 급성 통증]

 

기대되는 결과 : 

적절한 시간 내 흉통이 완화되었음을 표현한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병력이나 통증을 사정한다

(이전 병력을 문진함으로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함)

2. 통증의 위치, 강도, 기간, 방사 여부를 사정한다

(환자의 주관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치료해야 함)

3. 마약성 진통제 투여 후 활력징후를 확인한다

(부작용으로 저혈압과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음)

 

 

 

[간호진단 : 비효율적인 조직 관류]

 

기대되는 결과 : 

조직관류와 심전도가 안정적이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호흡을 사정한다

(심장펌프부전과 허혈성 통증은 호흡부전 초래함)

3. 피부상태(쇼크 증상)를 사정한다

(심박출량 감소로 전신혈관 수축 발생함)

2. 12 lead 심전도를 모니터한다

(심장리듬의 정확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함)

4.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조직관류 저하는 호흡곤란을 유발함)

5. 필요시 항응고제, 혈전용해제를 투여한다

(조직관류를 증진하기 위해 필요함)

 

 

 

[간호진단 : 심박출량 감소 위험성]

 

기대되는 결과 : 

심장펌프 효율성 및 관류상태를 유지한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혈압을 모니터한다

(저혈압은 기능부전 및 관류저하와 관련됨)

2. 심박동수와 리듬을 모니터한다

(약물, 통증, 합병증 등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함)

3. 적절한 휴식을 통해 호흡곤란을 예방한다

(과도한 활동은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킴)

4. 응급처치 기구 및 약물을 준비한다

(관상동맥 폐색으로 심정지 초래할 수 있음)


심부정맥혈전증 환자의 간호과정

 

 

 

[간호진단 : 비효율적 말초조직 관류]

 

기대되는 결과 :

조직관류 증진을 위한 활동에 참여한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homan's 증후 및 모세혈관 충만을 사정한다

(DVT 시 모세혈관 충만 시간이 감소함)

2. 손상된 사지의 순환, 신경, 감각, 운동을 평가한다

(정확한 DVT 위치를 확인하기 위함)

3. 손상된 사지를 마사지하거나 문지르지 않도록 한다

(혈전이 이동한 합병증인 색전을 예방하기 위함)

4. 하루에 1.5~2L 수분 섭취를 시행한다

(혈액 점성도를 감소시켜 혈전을 예방하기 위함)

 

 

 

[간호진단 : 가스교환 장애(폐색전 시)]

 

기대되는 결과 : 

호흡상태 및 가스교환이 정상 범위에 있다

 

간호중재 및 근거 : 

1. 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한다

(심장리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

2. 호흡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비정상적인 호흡 상태를 확인하기 위함)

3. 체위변경과 조기이상을 시행한다

(폐 분절의 산화 및 산소분포를 증진하기 위함)

4. 호흡을 위해 침대 머리를 상승시킨다

(폐확장을 최대화시켜 호흡을 증진하기 위함)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김간토리의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